올해 한국 귀화 예정인 롯데 신동빈 회장 아들 신유열

오늘만유머

'롯데가(家) 3세'로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 전무가 연내 한국 국적을 취득해 경영 참여 보폭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 올해 신 전무의 나이가 한국 병역법 상 병역 의무에서 제외되는 만 38세가 되기 때문이다. 일본 국적을 가진 신 전무에게 '국적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통한다. '토종 한국 기업'을 표방하는 롯데의 후계자가 일본인이라는 점은 향후 승계 과정에서도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최근 롯데그룹의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한국 롯데에 데뷔한 신 전무에게 2024년은 특별한 해다. 1986년생인 신 전무는 만 38세가 되며 병역 의무에서 벗어난다. 국내 병역법 제 10장(병역의무의 종료)에 따르면 현역병입영 또는 사회복무요원·대체복무요원 소집 의무는 만 36세부터 입영의무가 종료되나 국적법 제 9조에 따라 국적회복허가를 받아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만 38세부터 면제된다. 신 전무는 올해 한국 국적을 취득할 것으로 관측된다. 롯데지주 및 계열사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신 전무의 지분 확보 시점도 한국 국적 취득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동열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신 전무에게 한국 국적 취득이라는 전제 조건이 갖춰지지 않는다면 지분 확보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 전무의 지분 확보 방안은 △ 높은 근로 소득을 통한 자사주 매입 △호텔롯데 상장 과정에서의 자금 투입 등이 꼽힌다. 현재 신 전무는 롯데지주, 롯데바이오로직스, 일본 롯데파이낸셜 주식회사, 일본 롯데 부동산 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일본 롯데홀딩스 등 그룹 내 6개 회사에서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근로 소득을 통해 지분을 매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그룹 차기 총수가 속해있는 계열사들은 임원에 대한 성과급을 높게 책정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http://n.news.naver.com/article/293/0000050234?sid=101 작년부터 한국와서 한국 롯데에서 근무중 현재 일본 단일 국적 일본명 : 시게미쓰 사토시 (한국명 : 신유열) 만 38세 넘어야 병역 의무 없어져서 만 38세 되는 올해 한국 귀화 예정 한국피는 할아버지 신격호에게만 받아서 1/4 엄마, 할머니 일본인 와이프도 일본인

댓글등록

9891

최신게시물

  1. 229
  2. 230
  3. 231
  4. 232
  5. 233
  6.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