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태영건설에 7천억대 대출 채권…워크아웃 후폭풍에 촉각

이슈가이드

(서울=연합뉴스) 금융팀 = 태영건설의 기업구조개선(워크아웃) 신청이 가시화되면서 그동안 수천억원대 대출을 제공해온 금융기관들이 그 후폭풍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태영건설의 높은 부채 비율 등을 고려할 때 실제 워크아웃 절차가 진행될 경우 일부 채권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태영건설의 올해 3분기 말 장기차입금 총액은 1조4천942억원, 단기차입금 총액은 6천608억원으로 집계됐다. 태영건설은 이 중 국내 은행권으로부터 장기차입금 4천693억원과 단기차입금 2천250억원 등 총 7천243억원을 빌렸다. (중략) 은행별로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PF 대출 1천292억원과 단기차입금 710억원 등 2천2억원으로 가장 많은 채권을 보유했다. 이어 국민은행은 PF 대출 1천500억원과 단기차입금 100억원 등 1천600억원, 기업은행은 PF 대출 997억원, 우리은행은 단기차입금 720억원을 각각 빌려줬다. 신한은행은 PF 대출 436억원과 단기차입금 200억원 등 636억원을, 하나은행은 PF 대출 169억원과 단기차입금 450억원 등 619억원을 각각 태영건설에 대출해준 상태다. (중략) 보험사, 증권사, 제2금융권 등의 대출도 적지 않았다. 한화생명보험은 845억원, IBK연금보험과 흥국생명보험은 각 268억원, 농협생명보험은 148억원의 PF 대출을, 농협손해보험은 333억원, 한화손해보험과 푸본현대생명보험은 각 250억원의 시설자금 대출을 각각 제공했다. 증권사 중에는 KB증권이 412억원의 PF 대출을, 하나증권이 300억원, 한양증권이 100억원의 단기차입금을 각각 대출했다. 이 밖에 애큐온저축은행 50억원을 비롯해 신협중앙회 397억원, 용인중앙새마을금고 359억원 등도 있었다. 성남중앙새마을금고는 PF 대출과 단기차입금을 각 167억원 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v.daum.net/v/20231228060146686

댓글등록

3209

최신게시물

  1. 253
  2. 254
  3. 255
  4. 256
  5. 257
  6. 258